"가습기살균제 생존피해자 중 청소년이 37%, 생애주기 맞춤 피해지원정책 필요합니다."
오늘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국정감사에서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인정 생존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0대 청소년의 맞춤 피해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최근 발표된 사참위 권고안에 따른 이행계획을 제시할 것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요구했습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인정 생존자 3,284명 중 10대가 37%(1221명)로 가장 많습니다.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됐던 9세 이하 피해자들이 10여 년이 흐른 후에도 피해를 겪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10대 청소년 피해자들이 정부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는 거의 없습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관련한 모든 업무를 맡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현재 피해자를 대상으로 전화건강상담서비스인 '콜링유'와 의무기록물 발급 대행을 주로 하는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뿐입니다.
10대 청소년 피해자들은 병원 치료 등으로 학교생활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학교에 매뉴얼을 배포할 것과 심리적 위축 및 불안정한 교우관계, 학업 결손, 군 복무 등에 대한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221명 10대 청소년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전수조사해야 합니다. 청소년 피해자들이 성장하면서 겪게 될 신체적, 사회적 어려움을 고려해 생애주기에 맞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합니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10대 청소년 피해자를 위한 지원대책 방안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가습기살균제 참사 관련 사참위 권고안에 따라 환경부와 협의하여 이행계획을 세우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의원활동 > 의원발언&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원총회 모두발언] 카카오 먹통 사태, ‘게으른 카카오’와 ‘불통 국회’가 만든 ‘먹통 사태’ (0) | 2022.10.19 |
---|---|
[2022국감_고용노동부 산하기관] SPC 20대 노동자 끼임死, 해당 제빵공장 안전보건인증 받아... 중대재해 철저 수사해야 (0) | 2022.10.19 |
[2022국감_고용노동부 소속기관] 현대제철 하청노동자 불법파견 분쟁, 평화로운 해결 위해 노동부 적극 노력해야 (0) | 2022.10.14 |
[2022국감_경사노위] 자격없는 경사노위 김문수 위원장에게 레드카드를 들어 국감장 퇴장을 요구했습니다 (0) | 2022.10.12 |
[2022국감_환경부 소속기관] 환경영향평가의 절차적 문제 지적 및 소속기관 공무직 차별 개선을 위한 질의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