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행정안전위원회

[이은주 보도자료] 코로나19 이후 고의적 자해 급증, 2015년 이후 최대치

정의당 국회의원 이은주 2021. 9. 9. 07:50

[보도자료]

 

코로나19 이후 고의적 자해 급증, 2015년 이후 최대치

-10, 20대 고의적 자해 증가 심각, 증가폭 가장 커

 

코로나19 발생 후 고의적 자해가 급증했다. 정의당 이은주 의원(행정안전위원회)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289명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의 경우 1,225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1,076) 보다 더 증가했다.(건강보험 가입자 기준) 코로나19로 인한 불안, 우울, 스트레스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려가 있었고, 정부 차원에서 중앙재난심리회복지원단을 구성하는 등 대책을 수립했으나 고의적 자해의 증가를 막지 못했다.

 

2020년 고의적 자해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289명으로 2015681명에서 대폭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10, 20대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10~19세의 경우 201550명에서 2020224명으로 4.5, 20~29세의 경우 같은 기간 93명에서 484명으로 5.2배 증가했다. 특히 20대는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연령별 고의적 자해 발생 현황 (단위 :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681 770 753 973 1,773 2,289
0~9 11 6 7 4 8 3
10~19 50 54 54 116 194 224
20~29 93 89 100 119 270 484
30~39 110 123 96 120 219 320
40~49 115 140 121 160 267 317
50~59 117 125 152 159 263 311
60~69 54 78 76 94 172 226
70~79 82 84 83 115 205 241
80세이상 50 75 66 89 179 170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은주 의원 요구자료 재구성(2021.9)


<참고>
1) 건강보험 심사일 기준
2)고의적 자해는 주상병으로 청구되지 않아 X60~X84(고의적 자해)가 부상병으로 청구된 명세서를 대상으로 작성
3) 약국 조제 및 한방 상병 제외
4) 수진자 연령은 진료시점 만(滿)나이 기준임
5) 지역은 요양기관 소재지 기준임
6) 수진자수는 범주 내 동일인의 중복을 제거한 값이지만, 다른 범주와 단순합산할 경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음

 

연도별 상반기 현황만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 고의적 자해 진료 인원은 2015년 상반기 299명에서 2021년 상반기 1,225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이후 상반기 진료 인원 중 최대치로 2019년 이후 증가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연령별 자료에 따르면 10~19세는 2015년 상반기 17명에서 올해 상반기 134명으로 7.9배 증가했고, 20~29세는 같은 기간 42명에서 281명으로 6.7배 증가했다. 10대의 경우 작년 상반기 잠시 주춤했으나 하반기 들어 급증했으며 20대의 경우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다른 연령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10, 20대 자살 예방 대책의 실효성에 대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30대의 경우 2019년 상반기 86명에서 올해에는 약 2배인 166명으로 증가했다.

 

<> 연도별·연령별 상반기/하반기 고의적 자해 발생 현황 (단위 :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합계 299 407 326 466 332 441 383 612 792 1,030 1,076 1,287 1,225
0~9 5 6 2 4 3 4 3 1 5 3 2 1 2
10~19 17 36 16 40 24 32 33 84 90 111 86 146 134
20~29 42 53 44 50 40 63 46 76 118 160 213 287 281
30~39 53 62 55 70 49 51 43 80 86 137 161 168 166
40~49 46 69 62 79 52 69 70 90 124 148 164 162 154
50~59 57 67 57 75 71 86 67 98 117 154 161 157 145
60~69 25 31 33 47 29 48 37 58 65 111 110 121 126
70~79 35 50 28 56 34 51 45 72 100 110 100 148 110
80세이상 20 33 30 46 30 39 40 54 88 97 81 99 108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은주 의원 요구자료 재구성(2021.9)

 

한편, 의료급여 수급자의 고의적 자해 진료 현황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 2017103명에서 2020262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40, 50대가 각각 58, 61명으로 다른 연령보다 많았다. 20, 30대의 가파른 증가율, 80세 이상의 증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 의료급여 수급자 연도별·연령별 고의적 자해 발생 현황 (단위 : )
구분 2017 2018 2019 2020
합계 103 170 234 262
10 5 20 19 18
20 5 8 13 24
30 14 11 22 24
40 31 28 56 58
50 25 54 53 61
60 6 20 37 34
70 10 18 19 18
80세이상 7 11 15 25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은주 의원 요구자료 재구성(2021.9)


<참고>
1) 의료급여 심사결정 기준 20171~20216
2) 다음의 상병을 주·부상병으로 청구한 명세서 대상 : X60~X84 고의적자해 관련 상병
3) 의료급여종별 "9"(외국인근로자 등 소외계층)는 제외함
4) 약국 조제 및 한방 상병 제외
5) 지역은 요양기관 소재지 기준
수진자 연령은 진료시점 만(滿)나이 기준으로, 다른 연령대와 단순합산할 경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음

 

의료급여 수급자의 진료 현황을 상반기만 분석한 결과 201740명에서 2021134명으로 3.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34명은 2017년 이후 상반기 진료 인원 중 최대치다. 저소득층의 자살 예방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 의료급여 수급자 연도별·연령별 상반기/하반기 고의적 자해 발생 현황 (단위 : )
구분 2017년상반기 2018상반기 2019상반기 2020상반기 2021년상반기
합계 40 70 104 118 134
10 2 8 9 7 12
20 1 2 4 8 12
30 3 2 10 9 12
40 11 12 23 32 29
50 13 24 25 28 30
60 3 12 19 15 17
70 3 5 8 9 14
80세 이상 4 5 6 10 9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은주 의원 요구자료 재구성(2021.9)

 

문재인 정부는 2019년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신설하여 범정부 추진체계를 강화하고,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수립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 우울 현상 확산에 대응해 국가 차원의 통합심리지원단을 구성·운영하여 마음건강 정보제공, 심리상담을 통한 정신건강 회복을 지원하고 있다. (문재인정부 4100대 국정과제 추진 실적2021.05) 2021년에는 18개 부··청이 참여하여 6대 분야 총 67개 과제를 수립하고, 17개 시도에서 총 166개 과제를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여 위기대상별 심리지원을 강화하겠다고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고의적 자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 대책의 실효성이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이은주 의원은 우리나라는 자살율이 매우 높은 나라인데 코로나19로 인하여 자살위험 요인이 증가했다. 특히 청년층, 저소득층의 고립감, 불안감, 경제적 어려움 등이 심각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의원은 성별, 연령별, 소득계층별 위기 대상의 특성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며 자살 예방을 위한 획기적 투자가 필요하다. 자살 예방 인프라를 확대하고, 전문센터, 기관 종사자들이 전문성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재정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고의적 자해 시도자에 대한 서비스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상담기관 및 자살예방센터에 적극적으로 연결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안내하는 등 응급실 기반 사후관리 사업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

 

[첨부자료]

1. 2017년~2021년 6월 고의적 자해 현황
2. 고의적자해 관련 시도별/연령별 진료 현황(의료급여)
3. 2017년~2021년 6월 반기별 고의적 자해 현황


20210908_고의적자해.hwp
0.69MB
이은주의원실2017년_2021년6월_고의적자해_현황_건보_1.xlsx
0.05MB
이은주의원실2017년_2021년6월_고의적자해_현황_의료급여.xlsx
0.02MB
이은주의원실2017년_2021년상반기_반기별_고의적자해현황.xlsx
0.06MB